오랜만에 아주 오랜만에 집 부근에 산책을 나갔다. 코로나를 핑게로 집콕을 하다보니 몇 일 동안 바깥바람이라곤 창문만 잠시 열어서 쐴 뿐이었다. 그런데 이제는 바람도 좀 쐬자 싶어 나갔다. 조금 여유를 부리며 나가면 발길이 가는 곳이 바로 그뤼네부르크 공원이다.
그뤼네부르크 공원은 프랑크푸르트 시민들이 시내 한복판에서 즐길 수 있는 녹지이다. 이렇게 큰 시립공원이 시내 한 복판에 있다는 것은 시민들에게 축복이며 또 이 부근에 사는 내게도 축복이다. 그러나 이 공원이 원래 로스차일드 가의 성이 있던 곳인데 유태인들에 대한 혐오를 이용하여 정치권력을 휘두른 나치 히틀러 일당이 헐값에 강제매입한 땅이라 생각하면 이 공원에 눈부신 봄빛이 마냥 다사롭지만은 않다.
하기야 우리가 누리는 것 중 어느 한 톨 모래알이 본시 우리 것이었던 적이 있었을까? 단지 우리는 사회적 합의 혹은 계약이란 이름 아래 마치 우리 것인 줄 잠정결론을 내리고 살 뿐이다. 그 잠정결론의 그물망 속에서 우리는 조금이라도 더 우리의 자유와 평화를 확장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면서 언제 어디서 다른 이들의 자유와 평화가 여지없이 파괴되고 있는지 상상도 할 여유 없이 살지 않는가?
이 공원에는 기억 나무가 하나 서 있다. 어느날 이른 아침에 산책을 하다 발견한 곳인데 소리 소문 없이 서 있다. 나무 아래에 설치된 안내문을 보면 끔찍한 역사적 사실이 적혀 있다. 칠레의 아옌다 정부가 군사 쿠데타로 파괴된 후 1973년부터 1990년까지 17년간 사라지거나 살해당한 사람들에 관한 기억이다.
한국 대선을 앞두고 윤석열은 지난 정부의 적폐를 청산하겠다고 공언했다. 문재인 대통령에게서 검찰개혁을 하라고 신임받고 검찰총장이 되었지만 법무부 장관 지휘권 못 받겠다고 쌈만 하다가 사표 내고 나와서 대선 후보가 된 정치신잉ㄴ의 발언이다.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 노무현 대통령을 괴롭혀서 죽음으로까지 몰고간 역사가 되풀이될까 하는 걱정은 진작부터 하였지만, 윤석열이 이렇게 공언하고 나설 줄은 몰랐다.
기억 나무를 보며 마음이 편치 않다.
그 사이에 한국에는 윤석열과 안철수의 야합으로 후보 단일화가 되었고 어게인 2002가 시작되었다. 몇 일 사이에 이재명에 대해 바로 보기 시작하는 붐이 일어났다. 너무 늦은 듯하면서도 우리 국민을 믿는 수밖에 없는 듯하다.
사전투표 참여율 36,9%. 그것이 모두 누구에게 가는 표인지는 모른다. 아직 3월 9일 투표가 남았다. 모두 현명한 판단을 해 주기를 바란다. 나는 이재명을 신뢰하고 지지한다.
2022. 3. 6
프랑크푸르트에서
'편집자 생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한국 대선과 그뤼네부르크 공원의 기억 나무 (0) | 2022.03.07 |
---|---|
종이 신문에 대한 아쉬움 (0) | 2018.05.22 |